월요일만 되면 빗발치는 스팸 광고 문자와 전화. 평소 눈여겨보던 브랜드의 할인 문자는 구매할 생각이 있었던 거라 괜찮지만 이외의 개인번호로 오는 진정한 스팸광고는 정말 지겨울 따름이다. 특히 일 특성상 오는 연락을 그냥 무시할 수 없는 경우는 더 고역이다. 사기업체에 노출될 확률도 더 높다. 요즘은 특히 주식, 코인 등 한 번에 큰돈을 벌 수 있다는 광고가 판치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현혹된다. 실제로 벌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40대 이상 나이가 많고 자녀가 있는 사람을 노린 보이스피싱 전화도 수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납치보다는 병원에서 큰 수술을 해야 한다, 핸드폰을 바꿔야 한다 등 실제로 있을 법한 이야기로 현금을 갈취한다. 피싱이 쉬워지는 이유는 단순 개인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톡 등 SNS 계정으로 간편하게 회원가입이 가능하게 된 영향도 크다. 선택항목인 제3자 제공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1.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이용하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만든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사이트는 웹사이트 회원 탈퇴를 한번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등록번호, 아이핀, 핸드폰, 신용카드로 본인 확인을 했던 이력 확인과 특정 사이트의 개인정보 수집 이용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다만 네이버, 카카오톡 등 SNS로 간편가입 한 것은 나오지 않는다. 웹사이트에서 직접 가입한 회원정보만 나오고 하루에 20건씩 민원신청을 통해 회원 탈퇴를 할 수 있다. 사이트가 아예 없어졌거나 은행 등 탈퇴를 하게 되면 금전적인 손해를 볼 수도 있는 사이트는 회원 탈퇴 신청 불가 목록으로 나온다.
2. 카카오톡 간편 회원가입 연결끊기


SNS로 회원 가입한 사이트들은 해당 SNS 계정에서 탈퇴를 신청해야 한다. 카카오톡 계정으로 터치 한 번에 간편하게 회원가입할 수 있게 되었는데 탈퇴 또한 간편할까? 카카오톡 > 개인/보안 > 카카오 계정 > 연결된 서비스 관리로 들어가면 내가 가입한 카카오 서비스, 카카오 제휴 서비스, 외부 서비스의 어플이 나온다. 바로 카카오 알림 수신 같은 선택 정보 동의를 철회할 수 있고 연결 끊기 또는 모든 정보 삭제를 통해 탈퇴가 가능한데 한 번에는 안되고 일일이 눌러서 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연결 끊기는 해당 서비스와 카카오 계정 연결이 끊기고 모두 로그아웃이 된다. 탈퇴와 비슷한데 아예 모든 정보를 삭제하려면 모든 정보 삭제를 누르고 직접 탈퇴를 해야 한다. 바로 해당 어플로 연결된다.
3. 네이버 간편 회원가입 관리


네이버 아이디와 인증서로 간편 회원 가입한 내역들은 내 정보 > 보안설정 > 네이버와 연결된 서비스 관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친구 추천에 활용되는 페이스북, 라인, 인스타그램 등 소셜 SNS 계정 연결도 정보제공 철회를 할 수 있는데 카카오와 같이 탈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예 탈퇴를 하려면 조회된 해당 사이트 URL을 통해 탈퇴를 진행해야 한다.
평소에 계속 이용하는 사이트나 어플은 굳이 탈퇴할 일이 없으니 무관하지만 SNS 간편 가입을 통해 가입한 것들은 가입과 이용이 간편하나 탈퇴를 하려면 복잡한 부분이 있다. 해당 SNS 계정을 탈퇴하면 되지 않을까? 싶지만 이렇게 해도 가입된 모든 사이트들에서 자동으로 탈퇴되지 않는다. 직접 탈퇴 접수를 해야 하고 더 복잡해진다. 개인정보보호법이 바뀌면서 회원가입 시 정보제공을 1년 3년 또는 평생 유지를 할 것인지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효과는 체감이 전혀 되지 않는다. 이쯤 되면 개인 정보는 아예 쓰지 않고 안심번호나 1회용 인증서로만 가입 및 제공할 수 있게 바뀌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지만 아직 멀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