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일반의와 전문의는 간판부터 다르다

by Time to love 2022. 7. 12.
반응형

아파서 병원을 갈 때, 어느 병원을 가는 게 좋을지 검색을 한다.

많이 안좋은 상황이라면 바로 대학병원으로 가지만

보통 감기나 가벼운 피부병 정도는 집 근처의 병원으로 간다.

그런데 병원이 너무 많다.

이왕이면 전문병원으로 가고 싶다.

 

일반의와 전문의를 구별하려면

 

의대 졸업 후 의사 면허증을 취득 = 일반의

일반의가 n년의 레지던트를 거쳐 전공 자격을 취득 = 전문의

전문의 자격을 인정받은 자가 아니면 
상호명에 전문과목을 표시하지 못한다.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전공이 아니더라도 
다른 진료과목을 진료할 수는 있다. 

한 가지만 진료하는 게 아니라면 
상호명 옆에 작은 글씨로 진료과목을 표기한다.

 


예시)
일반의 간판 = 000 의원
전문의 간판 = 000 피부과 의원

 

전문과목


의사 : 내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의학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결핵과, 재활의학과, 예방의학과,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핵의학, 직업환경의학과

치과의사 :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과, 치과교정과, 소아치과, 치주과, 치과보존과, 구강내과, 구강악안면방사선과, 구강병리과, 예방치과

한의사 : 한방내과, 한방부인과, 한방소아과, 한방신경정신과, 침구과,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한방재활의학과, 사상체질과

 

의원과 병원은 뭐가 다른가

 

의원과 병원은 병상 수로 나뉜다.

 

병상 수 30개 미만 = 의원
병상 수 30개 이상 = 병원


*병상 : 환자용 침대 

 

의료인 : 의사 / 치과의사 / 한의사 / 조산사 / 간호사

의원급 의료기관 : 의원 / 치과의원 / 한의원

병원급 의료기관 : 병원 / 치과병원 / 한방병원 / 요양병원 / 정신병원 /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 종합병원 중에서 중증질환에 대한 의료를 전문적으로 하는 곳이며 지정된 병원은 3년마다 바뀐다.

반응형